본문 바로가기
강멍

강아지 등록 방법, 처음 보호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수정 및 보완판)

by 별난밈 2025. 10. 7.

강아지를 가족으로 맞이했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중 하나가 ‘반려견 등록’입니다.
반려견 등록은 단순한 의무를 넘어, 아이를 지켜주는 보호 장치이기도 합니다.
만약 강아지가 길을 잃거나 사고를 당했을 때, 등록된 정보가 있다면 빠르게 주인에게 돌아올 수 있습니다.

저희 강아지도 등록할때 막상 해보니 생각보다 간단했습니다.
그때 느꼈던 건, “이 과정을 미루지 말고 하루라도 빨리 하는 게 아이를 위한 일”이라는 점이었죠.

1. 반려견 등록이란?

반려견 등록제는 2개월령 이상인 반려견을 대상으로 정부에 신원 정보를 등록해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등록 시에는 강아지의 이름, 견종, 생년월일, 보호자 정보 등이 함께 기록됩니다.
이는 단순히 법적 의무가 아니라, 유실·유기 시 신속한 보호자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 등록 의무 시기: 생후 2개월 이상인 반려견은 반드시 등록해야 합니다.
📍 등록 대상 지역: 전국 모든 지자체
참고: 만약 법정 기한 내에 등록하지 않으면 1차 위반 시 20만 원 이하, 2차 40만 원 이하, 3차 이상 6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 등록 방법 3가지

1) 내장형 무선식별장치(칩) 등록
가장 일반적이고, 영구적으로 등록되는 방식입니다.
강아지 어깨 쪽 피하에 쌀알 크기의 칩을 주사기로 삽입합니다.
동물병원 등 동물등록 대행기관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장점: 분실 가능성이 없고, 평생 유지됩니다.
단점: 시술 시 약간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저희 강아지도 병원에서 했는데 시술이 5분도 채 걸리지 않았어요.
강아지가 살짝 움찔했지만, 마취는 필요 없었고 바로 평소처럼 뛰어다녔습니다.

2) 외장형 등록
목걸이형 또는 펜던트형으로 되어 있으며, 내장형 대신 선택 가능합니다.
번호가 새겨져 있어, 강아지가 유실될 경우 확인이 가능합니다.
장점: 시술이 필요 없고, 간편하게 교체 가능
단점: 분실 또는 훼손 위험이 있음

🔑 추천 상황: 내장형 시술이 어려운 건강 상태이거나, 임시로 사용해야 할 경우에 적합합니다.

3) 인식표 등록
보호자의 연락처 등을 적은 인식표를 착용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이는 법적인 동물등록 방법이 아닌 보조 수단입니다. 반드시 내장형 또는 외장형 등록을 완료한 후 추가로 달아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3. 등록 절차

1️⃣ 등록 기관 방문
가까운 동물병원, 또는 시·군·구청에서 지정한 동물등록대행기관 방문
보호자 신분증과 반려견 함께 동반

2️⃣ 신청서 작성
보호자 정보, 반려견 정보 입력

3️⃣ 등록비 납부
내장형 약 2만 원 내외 / 외장형 1만 원 내외 (기관 및 지자체별 상이)
💡 등록비 절약 팁: 일부 지자체에서는 내장형 칩 등록 비용을 지원해 주는 사업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등록 전, 거주하는 시·군·구청 홈페이지나 동물병원에 문의해 지원 여부를 확인해 보세요.

4️⃣ 등록 완료 확인
발급된 동물등록증 또는 확인서를 꼭 보관합니다.
📱 온라인 조회:
동물보호관리시스템(www.animal.go.kr)에서 등록번호로 조회 가능합니다.

4. 반려견 등록 후 변경·분실 시 대처

주소 또는 연락처 변경 시: 변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관할 지자체 또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을 통해 수정해야 합니다.

강아지 분실 시: 분실일로부터 10일 이내 신고 의무 (전화 또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서 신고 가능)
사망 시: 사망일로부터 30일 이내 신고
이 절차를 지키면 행정상 혼선 없이 강아지의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생활 속 경험 예시

강아지를 처음 등록할 때는 “이게 꼭 필요한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 경험상, 등록번호가 있다는 것만으로 마음이 한결 놓입니다.

예전에 지인이 반려견을 잃어버렸을 때도, 등록 덕분에 하루 만에 연락이 왔습니다.
그 이후 주변 사람들에게 항상 “등록은 반려견의 이름표이자 생명줄”이라고 이야기하게 되었어요.

강아지 등록은 단순한 절차가 아니라, 반려견의 안전과 신원을 보장하는 첫걸음입니다.
조금 번거로워 보여도 하루만 투자하면 평생 든든한 보호망이 생깁니다.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 오늘 바로 가까운 동물등록 대행기관을 방문해 등록 절차를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