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멍63 구피가 싸는 흰똥과 투명똥 오늘은 구피가 싸는 똥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한다.물고기들은 자기가 먹은 사료와 같은 색의 똥을 싸게 되는게 가끔 보면 흰똥이나 투명똥을 쌀때가 있다. 처음엔 무조건 기생충인가 하는 생각에 약을 이것저것 사게 되는데 구피가 기생충에 감염된다는건 내가 물생활 몇년동안 단 한번도 보지 못했다. 그만큼 쉽지 않은것 같다.그러면 흰똥과 투명똥을 싸는 원인은 무엇인지 지금부터 알아보자.사료의 부패나 과식가끔 구피가 너무 과식을 했거나 부패된 사료로 인해 탈이 났을때 흰 똥을 싸게 된다. 그런 경우엔 조금 지나면 다시 사료색의 똥을 싸게 된다.스트레스어항의 이동이나 과밀로 인한 스트레스에도 흰똥이나 투명똥을 쌀 수 있다. 그런경우에도 조금 수온을 올려준다던지 지켜보면 좋아진다.암컷 구피의 출산임박출산의 임박 전후로 .. 2024. 3. 31. 구피와 베타를 같이 키우면 안되는 이유 어느날 우리집에 베타가 파양이 되서 왔다. 이유인 즉슨 친구어머니가 수족관에 가서 구피와 같이 키울 수 있는 물고기들을 달라고 했더니 베타를 줬다는거였다. 그렇게 예쁘게 생겼다 하며 데려온 베타 한마리는 어항을 돌아다니며 구피들을 공격하기 시작했고, 결국 혼자 분리되서 차디찬 유리그릇 속에서 지내야 했다. 수족관의 불량한 양심이 초래한 결과였고, 물고기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친구어머니는 구피를 괴롭힌 못된 물고기라는 생각에 차디찬 물에 방치를 하게된거다. 다행히 베타가 어려서였는지 추운 겨울 찬물에서 버티며 살아서 우리집에 오게됐다. 그러나 상태가 좋지않았다. 비늘도 벗겨졌었는데 점차 호전이 됐다.그럼 왜 구피왜 베타는 합사가 어려울까? 그 이유를 살펴보자. 어류의 공격성베타는 일반적으로 공격적인 성격.. 2024. 3. 30. 구피 새끼 낳기전 증상과 행동 3년간 물생활하며 구피 치어를 얼마나 봤는지 지금은 궁금하지도 않은게 그땐 왜 그리 궁금했는지 모르겠다. 지금도 또 새끼를 낳는 중인데 30하이큐브에서 어항이 4개, 5개로 늘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는지 초보 물린이들은 나와 같은 경험을 하지 않길 바라며 쓴다. 그럼 지금부터 초보일때 가장 궁금한 구피 새끼 낳기전 행동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자. 항문쪽이 직각인지 확인구피는 새끼를 낳을때가 되면 항문쪽이 거의 뾰족한 직각이 된다. 이때 배는 중간부터 뒤쪽으로 많이 나온 상태인데 간혹 구피가 크면 복수와 비슷해서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초보일때 구피 배가 앞뒤로 많이 나와있으면 간혹 병에 걸렸다고 착각하고 치료를 하는 경우가 있다. 복수에 걸리게 되면 아래로만 많이 나오는것이 아니라 .. 2024. 3. 28. 구피가 바닥에 있는 이유 어느날 어항을 보니 구피가 바닥에 있다? 구피가 바닥에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구피가 바닥에 있다면 그 이유를 한번 살펴봐야 하는데 지금부터 알아보자.구피는 수면중필자는 거의 밤샘 업무가 많아 코로나 기간 밤에도 불을 켜놓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보니 물고기도 피곤하다는것을 알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불이 꺼있는 시간이 없다보니 구피들이 하품을 하기 시작했고 낮에도 바닥 안쪽에서 자는 경우가 있었다.구피가 놀랬을때반대로 구피들도 다른 물고기들과 마찬가지로 놀라기도 하고 두려움도 느낀다. 어두운 밤 갑자기 불이 켜지면 밝은 빛에 놀라 모두가 바닥에 가라앉는 행동을 하게 되는데 잠시 움직임을 멈추고 있다.수질이 안좋을때물 수질이 안좋으면 물고기들이 단체로 한쪽 구석에 가만히 있다던가 바닥.. 2024. 3. 26. 이전 1 ··· 12 13 14 15 16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