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멍63

어항 모래에 대한 모든 것! 🐠🌊 어항 속 모래(바닥재)는 단순히 장식 역할을 넘어, 물속 환경을 유지하고 물고기와 수초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요.어떤 모래를 선택해야 하는지, 관리 방법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어항 모래의 역할🐟 1) 물고기와 생물의 서식 환경 • 물고기와 바닥생물(예: 새우, 달팽이)에게 자연스러운 환경을 제공해요. • 바닥재는 생물이 몸을 숨기거나 쉬는 공간으로도 사용됩니다.🌿 2) 수초 및 박테리아의 서식지 • 수초의 뿌리를 고정시키고,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해줘요. • 유익한 박테리아가 번식하여 물의 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합니다.💧 3) 물의 화학적 안정성 • 특정 바닥재(산호사, 칼슘이 풍부한 모래 등)는 물의 pH와 경도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요.2. 어항.. 2025. 1. 7.
구피 떼죽음, 이유와 해결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물멍을 하면서 자주 겪을 수 있는 구피 떼죽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구피는 키우기 쉬운 물고기로 알려져 있지만, 떼죽음 현상은 초보자들에게 큰 충격일 수 있죠.저도 딱 한번! 구피가 떼죽음을 당한적이 있는데요. 정말 머리가 하얘졌던 기억이 납니다.지금부터 그 원인과 해결책을 하나씩 알아볼게요.1. 수질 문제구피는 민감한 물고기라 수질 변화에 취약해요.특히 암모니아, 질산염 농도가 높아지면 떼죽음의 원인이 될 수 있답니다.해결 방법• 정기적인 물갈이(25~30% 주 1회)를 해주세요.• 수질 검사 키트로 pH와 질산염을 점검하는 게 중요해요.• 물갈이할 때는 물의 온도와 상태를 새 물과 비슷하게 맞춰주세요.2. 과밀 환경작은 어항에 너무 많은 구피를 키우면 스트레스를 받고, 병에 걸.. 2024. 12. 19.
안시 새끼 한마리가 살아있었다니.. 안시들이 폭번한 후 거의 1년간 수정을 하지 않았었다. 애들도 과밀인 줄 아는지 거의 100마리씩 낳던 꼬물이들이 보이질 않았는데 하필 여름에 수질 직격타를 맞아 순식간에 10마리도 남지 않게 되었다.그리고는 올 겨울부터 안시가 알을 낳은건 보았지만 따로 관리는 하지 않아 새끼들이 없는줄 알았는데 어젯밤 어항에 붙어있는 한마리분명 한달은 되어보이는데 언제 살아남았는지 미스테리다. 색이 좀 빠져있는데 시금치 열심히 넣어줘서 남은 애들이랑 잘 크길 바래본다.생이새우 좀 누가 가져갔으면...(시금치를 구피만 먹는줄 알았더네 새우들까지 엄청나게 먹는다) 2024. 12. 17.
새끼를 낳을 각인 구피인데 노산인가? 암컷 구피는 새끼를 낳을수록 몸집이 커지고 배가 커져서 처음엔 10마리 내외라면 나중에는 100마리 가까이 낳기도 한다.이 암컷은 그만큼 몸이 커져서 새끼도 상당할것 같은데 어째 생각보다 낳기가 힘들어보인다.종일 이 상태인데 아무래도 오늘 지나도 안낳으면 단독항에 분리를 해야할까 싶다.가끔 산란관이 막혀서 못낳기도 하지만 이러다 힘이 빠지면 결국 배에서 새끼들이 죽기도 하는데, 그럴때 배 속에서 새끼들이 죽게되면 하얗게 변한다.그대로 두면 어미도 죽게 된다. 2년전 그렇게 다 죽게 된 구피를 꺼내 배를 살살 눌러 죽은 치어들을 빼네 살린적이 있다.그런데 그것도 암컷구피가 힘이 남았을때 가능하지 그렇지 않으면 거의 희박하다. 오늘 구피는 벽을 타는걸 보니 낳을 기미가 보이기도 하니깐 기다려봐야겠다. 2024. 12. 14.
728x90